2022 개정 교육과정 해설•성취 수준
•2022 개정 교육과정
•2022 개정 교육과정 성취 수준
•연간 지도 계획
Ⅰ 프로그래밍
01 함수
1. 함수의 정의와 호출
➊ 함수의 정의
➋ 함수의 호출과 복귀
2. 함수의 설계
➊ 반환값과 매개 변수의 사용
➋ 지역 변수와 전역 변수의 사용
•중단원 마무리
02 재귀 함수
1. 재귀 함수의 정의와 호출
➊ 재귀 함수의 정의
➋ 재귀 함수의 호출과 복귀
2. 재귀 함수의 설계
➊ 매개 변수와 전역 변수의 사용
➋ 단일 호출과 다중 호출
3. 반복 구조와 재귀 구조
➊ 반복 구조와 재귀 구조의 비교
➋ 재귀 구조를 활용한 문제 해결
•중단원 마무리
•대단원 마무리
•대단원 평가 문제
Ⅱ 데이터 구조
01 선형 데이터 구조
1. 큐
➊ 큐의 개념
➋ 큐의 구현
➌ 큐를 활용한 문제 해결
2. 스택
➊ 스택의 개념
➋ 스택의 구현
➌ 스택을 활용한 문제 해결
•중단원 마무리
02 비선형 데이터 구조
1. 그래프
➊ 그래프의 개념
➋ 그래프의 표현
➌ 그래프의 구현
➍ 그래프를 활용한 문제 해결
2. 트리
➊ 트리의 개념
➋ 트리의 표현
➌ 트리의 구현
➍ 트리를 활용한 문제 해결
•중단원 마무리
•대단원 마무리
•추가 활동지 해설 및 정답
Ⅲ 알고리즘
01 알고리즘의 성능과 분석
1. 알고리즘의 성능
➊ 알고리즘 복잡도
➋ 시간 복잡도
2. 알고리즘의 분석
➊ 빅오 표기법
➋ 알고리즘의 비교
•중단원 마무리
02 탐색기반 알고리즘
1. 탐색기반 알고리즘의 개념과 종류
➊ 탐색기반 알고리즘의 개념
➋ 탐색기반 알고리즘의 종류
2. 전체 탐색의 개념과 문제 해결
➊ 전체 탐색의 개념
➋ 전체 탐색을 활용한 문제 해결
3. 상태 공간의 배제와 문제 해결
➊ 분기 한정법과 탐욕법
➋ 상태 공간 배제를 활용한 문제 해결
•중단원 마무리
03 관계기반 알고리즘
1. 관계기반 알고리즘의 개념과 부분 문제
➊ 관계기반 알고리즘의 설계
➋ 전체 문제와 부분 문제 간의 관계
2. 분할 정복법의 개념과 문제 해결
➊ 분할 정복법의 개념
➋ 분할 정복법을 활용한 문제 해결
3. 동적 계획법의 개념과 문제 해결
➊ 동적 계획법의 개념
➋ 동적 계획법을 활용한 문제 해결
•중단원 마무리
•대단원 마무리
•대단원 평가 문제
Ⅳ 정보과학 프로젝트
01 컴퓨터 과학과 문제 해결
1. 컴퓨터 과학의 성격
➊ 컴퓨터 과학의 정의
➋ 컴퓨터 과학으로 해결 가능한 문제
2. 컴퓨터 과학을 통한 문제 해결
➊ 추상화
➋ 알고리즘 설계
➌ 자동화
02 문제 해결 프로젝트
1. 여행 계획 세우기
➊ 추상화
➋ 알고리즘 설계
➌ 자동화
2. 8퍼즐 문제 해결하기
➊ 추상화
➋ 알고리즘 설계
➌ 자동화
3. 지속가능 발전 프로젝트
➊ 추상화
➋ 알고리즘 설계
➌ 자동화
•대단원 프로젝트 평가